AOC55

Backend, Devops, Cloud, kubernetes

docker 3

쿠버네티스 :: GCP(VM)에 kubernetes Cluster 직접 구축하기 - 3 (23.01 수정)

목표 구글에서 제공하는 GKE를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GCP의 Compute Engine을 통해서 VM을 생성한 뒤 Master Node, Worker Node를 직접 생성한 뒤, Docker Engine 설치 및 Kubeadm을 통해 Kubernetes Cluster를 직접 구현해보겠습니다. 이전편 보기 https://aoc55.tistory.com/53?category=979845 이번편 주요내용 kubeadm, kubelet, kubectl 설치하기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축하기 네트워킹을 위한 CNI 설치하기 샘플용 POD 실행시켜보기 kubeadm, kubelet, kubectl 설치하기 (중요) 아래 작업은 VM 4개 모두 공통으로 각각 진행해줍니다. 이제 kubernetes 클러스터 설치를 ..

쿠버네티스 :: GCP(VM)에 kubernetes Cluster 직접 구축하기 - 2 (23.01 수정)

목표 구글에서 제공하는 GKE를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GCP의 Compute Engine을 통해서 VM을 생성한 뒤 Master Node, Worker Node를 직접 생성한 뒤, Docker Engine 설치 및 Kubeadm을 통해 Kubernetes Cluster를 직접 구현해보겠습니다. 이전편 보기 https://aoc55.tistory.com/51 이번편 주요내용 도커 런타임 설치 도커 cgroup driver 설정 방화벽 및 네트워크 설정 작업준비 앞편에서 작업했던 VM 4개(master 1, worker3)에 대해 모두 앞편의 설정했던 대로 SSH 로 로그인 합니다. 본인은 작업하기 편하게 아래와 같이 터미널 창을 띄어 놓고 했습니다. 반복되는 명령어가 많아서 창을 동시에 띄어놓고 복붙으로..

쿠버네티스 :: GCP(VM)에 kubernetes Cluster 직접 구축하기 - 1

Why (잡담)? kubernetes를 업무에 사용하게 되면서 공부용으로 나만의 클러스터가 필요하게 되었는데 지금 가지고 있는 노트북은 VM을 3개이상 띄울경우 힘들어하고, Docker Desktop에 있는 k8s이나 minikube 같은 경우 node가 1개뿐이라 실질적인 클러스터 환경으로 진행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기로 했고, GKE 같은 경우 이미 다 구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공해주는 서비스이기에 공부용이라는 목표랑은 안어울려서 (그리고 비쌉...) 결국 직접 GCP에 VM을 찍고 클러스터를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목표 구글에서 제공하는 GKE를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GCP의 Compute Engine을 통해서 VM을 직접 생성한 뒤 Master Node, Worker N..